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인공호수에서의 수질관리와 DAF의 적용

지오마린 GeoMarine 2009. 8. 25. 12:37

인공호수에서의 수질관리와 DAF의 적용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nd Application

of DAF Process in artificial lakes

허순철*, 송호면, 지재성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1. 서론

   우리나라에서 인공호수의 조성은 과거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등 수자원확보라는 대전제하에, 대부분 도시에서 떨어진 산간지역에 댐 등이 호수로 건설되었다.  이후 86아시안 게임과 88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또한 주택공급을 위한 신도시의 건설을 하면서 도시내에 쾌적한 친수공간을 만들어 선진국 시대를 대비한 자연 및 생활환경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도시내에 인공호수가 건설되었다.  아울러 신도시건설로 인하여 과거의 농경지가 택지로 바뀌면서 농경지로 공급되던 농업용수용 저수지는 이제는 위락용 호수로 용도가 바뀌고 있으며, 지속적인 오염원의 유입에 의하여 심각한 부영양상태에 놓이고 있다.

   한편, 신도시조성시 인공호수의 조성은 신도시가 인공성이 강한 이미지를 갖는다는 도시계획상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자연과의 친화성을 확보하면서 도시의 미관 부각과 신도시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청정호수 또는 생태호수로 조성되었다.

   그렇지만, 도심내 인공호수에서는 호수의 가치를 상실시킬 수 있는 유기오염물질은 물론 부영양화를 유발할 수 있는 영양물질의 유입원은 다양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공호수의 유기오염을 차단하기 위해 호수조성시 하폐수와 같이 유기물질과 영양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하폐수 및 강우유출수의 유입을 최대한 배제하도록 조성되었다.  그렇지만 고농도의 오염원을 배제한 인공호수라 하더라도 수심에 비해 수면적이 넓기 때문에 인공호수에서는 대기중에서 낙하하는 분진류와 강우에 의해서만도 부영양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용수원으로 사용중인 대규모의 댐호수를 제외하고 도심내에 친수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조성된 인공호수들을 중심으로 수질관리현황과 적합한 인공호수의 수질기준과 수질기준달성을 위한 수질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인공호수의 현황과 수질관리 현황

2.1 인공호수의 현황

  친수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조성된 대표적인 인공호수의 조성현황은 표 1과 같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질관리를 위해 수처리시설이 가동되고 있는 인공호수는 소수에 불과하다. 한편, 인공호수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수처리공법의 적용은 응집침전법(초고속응집침전 포함) 및 응집가압부상법 그리고 여과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수처리시설이 없는 인공호수에서는 봄철에 담수하고 가을철에 방류하는 방식으로 수질관리를 하고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표 1. 인공호수의 조성현황

연   못

수면적

(m2)

담수량

(m3)

평균수심

(m)

연못바닥

수처리시설

수원

 

 

용량(m3/hr)

공정

용산가족공원연못

보라매공원연못

여의도 지당

여의도 잔디마당

여의도 생태

천호동공원연못

길동생태공원연못

서울대공원 과천저수지

서울대공원 금붕어광장

서울대공원 반  도  지

서울대공원 조절저수지

서울대공원 원지동연못

어린이대공원 환경

어린이대공원 생태

관악산 호수공원

석촌호수

구암공원 연못

6,000

9,070

3,532

476

629

1,667

4,900

179,910

4,050

1,900

23,055

4,609

4,867

900

2,486

147,400

5,186

6,000

18,140

3,532

476

629

1,000

4,900

764,690

4,050

540

219,000

8,200

7,300

900

1,740

737,000

10,372

1

2

1

1

1

0.6

1

4.3

1

0.6

9.5

1.8

1.5

1

0.7

5

2

점토

토사

방수시트+점토

방수시트+점토

방수시트+점토

방수시트+자갈

점토

점토

자갈

토사

토사

점토

점토

점토

콘크리트+자갈

토사 및 자갈

암반

25

25

43

17

18

42.5

 

 

 

 

 

 

25

 

 

 

 

①+③*

 

 

 

 

 

 

①+③*

 

 

 

 

수돗물

지하수

지하수

지하수

지하수

수돗물+지하수

지하수

계곡수

계곡수

계곡수

계곡수

계곡수

지하수

지하수

계곡수

한  강

지하수+수돗물

일산 청정호수

231,300

400,000

0.5~3.0

방수쉬트+자갈

100(유입수)

167(순환수)

한강

호수순환수

일산 생태호수

68,700

53,000

0.5~1.0

PVC비닐+점토

 

 

청정호수유출수

조정경기장

298,620

672,000

  2.5

암반토사지반

417*

②+③*

한강

몽촌해자

53,500

107,000

1.5~2.0

암반토사지반

 

 

한강

부천 상동 근린공원 호수

20,342

18,366

0.5~2.0

벤토나이트+자갈

41.7*

②+③*

중수

주) ①: 응집침전, ②: 응집가압부상, ③: 여과,   *: 현재 수처리시설 공사중


2.2 인공호수의 수질기준 설정

2.2.1 호수의 부영양화 평가기준

  호수에서의 부영양상태의 판정에 대해서는 조사대상 호수의 지역적 특성 및 규모의 다양성 등에 따른 조건의 불일치로 인하여 각 항목별로 기준치가 상이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Forsberg and Ryding, 1980, Vollenweider and Kerekes, 1980). 이러한 판정기준중 Forsberg와 Ryding이 제시한 6월~9월의 T-P 평균치인 0.025mg/L가 합리적이라 판단되며,  6월과 9월의 평균치와 여름철의 최대농도와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일산호수에서의 수질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산정할 경우 T-P농도가 0.03mg/L가 된다.  따라서 호수의 청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 농도를 목표수질기준으로 정할 경우 우리나라 현행 수질환경보전법의 호소수질환경기준 등급상 T-P항목에 대해서는 II급수이상의 수질을 달성하여야 부영양화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2.2 인공호수의 수질기준 설정

  인공호수의 수질기준 설정시 호수의 기능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따라 수질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호수물의 투명성확보와 부영양화가 발생하지 않는 청정호수로 관리하고자 할 경우, 일산호수공원과 조정경기장 및 부천상동 근린공원 호수의 예에서 보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수원수로 사용할 수 있는 T-P와 SS항목을 제외한 항목을 III급수 수질을 적용하고, 호수의 투명성확보를 위하여 T-P와 SS에 대해서는 II급수 수질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T-P에 대해서는 부천상동 근린공원의 호수에서는 하계의 T-P농도 최대치인 0.03mg/L를 달성하기 위하여 춘계의 목표수질을 0.02mg/L이하로 관리하도록 설정하고 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또한 Chl-a에 대해서는 년중 10㎍/L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다만 하절기 폭염시 수심이 얕은 인공호수에서는 조류의 급성장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때에 한하여 팔당호 및 대청호에서 녹조경보의 기준치인 25㎍/L이하가 되도록 년최대치 개념으로 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한편, 인공호수를 다소 호수의 투명성을 고려하지 않고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태연못으로 조성할 경우, 수생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최소인농도가 T-P로서 0.07mg/L이상이라는 연구결과(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V급수정도까지의 수질이 보장된다.  따라서 인공호수를 생태호수로 조성할 경우 조류성장에 따른 부영양화는 불가피하다고 판단된다.


표 2 청정호수를 유지하기 위한 인공호수의 목표수질

항     목

설 정 치

수질 기준

춘․추계

하계

DO(㎎/ℓ)

COD(㎎/ℓ)

SS(㎎/ℓ)

T-N(㎎/ℓ)

T-P(㎎/ℓ)

pH

탁도

색도

대장균군수(MPN/100㎖) 

철(㎎/ℓ)

망간(㎎/ℓ)

Chlorophyll-a (㎍/ℓ)

유분, 거품, grease

이취미 유발물질

심한 탁도를 유발물질

퇴적물을 형성하는 물질

수서식물을 번식시키는 물질

독성이 있거나 유해한 물질

5.0이상

6.0이하

5이하

-

0.02이하

6.5~9.5

5NTU이하

40도 이하

1,000이하

0.5이하

0.3이하

10이하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5.0이상

10.0이하

5이하

-

0.03이하

6.5~9.5

7NTU이하

40도 이하

1,000이하

0.5이하

0.3이하

25이하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없을 것

Ⅲ급수 수준

Ⅲ급수 수준

Ⅱ급수 수준

참고항목

Ⅱ급수 수준

참고항목

-

-

Ⅱ급수 수준

-

-

-

-

-

-

-

-

-

 

2.3 인공호수의 수질현황

  표 3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인공호수의 수질현황을 나타낸 것으로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처리시설이 가동되는 일산 청정호수에서는 부영양상태에 이르지 않을 정도로 맑은 수질을 유지하고 있으나, 수처리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인공호수는 심각한 부영양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생태연못으로 조성되더라도 맑은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생태호수(일산 생태호수)와 지하수와 수도수를 이용하여 담수하는 생태호수(구암공원 호수)에서의 수질차이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한강상수원을 용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석촌호수, 조정경기장 및 일산호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보면(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일산 청정호수의 경우 유입수 및 순환수처리시설이 가동되고 있어서 년평균 T-P농도가 0.017mg/L로서 석촌호수의 0.046mg/L 및 조정경기장의 0.067mg/L보다도 훨씬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년최대 농도 또한 0.03mg/L로 두호수에 비해 훨씬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석촌호수와 조정경기장의 경우 같은 한강 상류의 상수원수를 이른봄에 담수하고 늦가을에 방류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수의 수심이 훨씬 깊고, 폭기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석촌호수의 경우 퇴적토로부터의 T-P 용출양이 조정경기장에 비해 훨씬 낮기 때문에 T-P농도나 Chl-a농도가 년평균치나 년최대치 모두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석촌호수의 경우도 년평균 Chl-a농도가 19.7㎍/L로서 심각한 부영양상태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그림 1에는 일산호수와 팔당호 및 조정경기장의 계절별 평균 T-P농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에서 보면 수처리시설의 가동에 의해 청정호수로 관리되고 있는 일산호수의 경우, 하절기를 제외하고는 년간 0.02mg/L이하의 농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수처리시설이 없는 팔당호와 조정경기장은 년중 내내 0.03mg/L이상의 심각한 부영양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수심이 얕은 조정경기장의 경우 팔당호보다 더 부영양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취송류의 영향과 태양의 복사열이 호수저면의 온도를 높여서 퇴적토에서의 인용출이 촉진되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따라서 인공호수를 건설함에 있어서도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심을 보다 깊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표 3. 대표적인 인공호수의 수질현황

연   못

수온, ℃

T-P, mg/L

TSS, mg/L

Chl-a, ㎍/L

수질관리시설

가동여부

년평균

년최대

년평균

년최대

년평균

년최대

년평균

년최대

석촌 호수

-

-

0.046

0.065

9.9

12.0

19.7

34.2

미설치

(폭기시설설치)

구암공원 연못

-

-

0.058

0.083

9.0

16.0

16.0

26.7

생태연못

일산 청정호수

15.3

29.7

0.017

0.030

1.7

2.6

3.5

9.0

유입수 및 순환수 처리시설 가동중

일산 생태호수

16.1

30.0

0.020

0.042

5.0

10.4

3.5

10.5

생태연못

조정 경기장

16.4

25.0

0.067

0.09

8.3

12.5

24.2

36.5

가압부상설치중

(미가동)

 

3. 인공호수의 수질영향원

    친환경적인 인공호수를 조성할 경우 고농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가 함유되어 있는 하폐수의 유입은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조성된다. 그렇지만, 인공호수의 오염유입원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대표적인 유입오염원으로 ① 미처리된 용수의 유입, ② 황사를 포함한 대기분진의 유입, ③ 강우중의 오염물질 유입, ④ 퇴적토로부터의 용출 및 ⑤ 지하수의 유입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2에는 고농도의 오폐수유입은 물론 호수주변 강우유출수의 호수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수원수를 봄철에 용수를 담수하고 가을철에 방류하는 조정경기장의 2001년도 하계의 오염영향원별 오염부하량을 나타낸 것이다. 조정경기장을 청정수역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정경기장의 총인량을 20kg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유입수에 의해서 이미 그 한계를 초과하고 있다. 또한 대기강하분진과 퇴적토의 용출 및 수면에 직접 떨어지는 강우에 의해서 약 27kg의 총인이 유입되어 부영양화현상을 야기하고 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그림 2에서와 같은 인의 물질수지만으로도 호수를 청정하게 유지하려면 보다 더 양질의 유입용수원으로 대체하던가 아니면 유입용수를 처리한 후 담수하여야 한다. 또한 용출량이 많은 퇴적토의 준설이 이루어지더라도 대기강하분진 및 강우에 의해 유입되는 오염부하의 제거를 위한 호수물의 순환처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그림 2. 조정경기장의 오염영향원별 총인부하량(2001년 하계기준)



4. 인공호수의 적합 수질관리방향

4.1 수처리가능 공법

      청정호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수에 유입하는 인성분을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저농도로 존재하는 인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응집제를 이용한 물리화학적 처리방법만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호수의 수질관리를 위한 수처리공법은 응집침전법(초고속응집침전 포함) 및 응집가압부상법으로 압축된다.


4.2 파일롯트플랜트의 운전결과 및 고찰

      호수의 청정성확보가 가능하다고 판단된 가압부상법과 응집침전법의 처리효율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운전된 파일롯트 플랜트의 제원은 표 4와 같으며, 실험에 이용된 원수는 조정경기장의 호수물을 이용하였다. 또한 응집제로 이용된 약품은 PAC였으며, 주입량은 15~20mg/L의 범위로 주입하였다.  파이롯트플랜트의 운전결과는 표 5에 나타냈으며, 그림 3 및 그림 4에는 두 처리공법의 평균처리수질을 나타냈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SS에 대해서는 가압부상법과 응집침전법 모두 1.5mg/L이하의 우수한 처리수질을 보이고 있다. 부영양화와 관련이 깊은 인성분과 Chl-a의 제거성능 역시 두 공법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부영양화의 제어 관점에서 볼 때 가압부상법이 전체적으로 응집침전법보다 훨씬 더 우수한 처리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처리수의 T-P, PO4-P 및 Chl-a의 농도는 가압부상법에 의한 처리시 응집침전법에 의한 처리수의 절반수준 이하를 나타내고 있다.

   물질수지면에서 보면 처리량의 규모를 결정할 때 가압부상법에 의한 처리를 할 경우 보다 더 적은 처리규모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호수의 순환처리 및 유입수처리에 대해서는 응집침전법보다는 가압부상법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처리수의 수질이 SS 1.5 mg/L이하로 처리되어 담수되지만, 지속적으로 담수가 이루어질 경우, 일산호수의 예에서와 같이 호수 유입부에 미소플럭에 의한 침전물이 발생하게 되어 호수의 미관을 저하시키게 된다(고양시 공원관리사업소, 2001). 따라서 수심이 얕은 인공호수에서는 호수의 미관을 고려하여 미소플럭의 유출방지를 위한 후속 여과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일산호수의 경우 유입수처리시설과 순환수처리시설이 각각 별개로 건설되어 있는데, 조정경기장 및 부천상동 근린공원의 경우처럼 증발손실된 양만큼 보충하기 위한 유입수처리개념으로 볼 때 순환수처리시설의 용량을 크게 하여 유입수처리기능을 병용하는 것이 건설비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표 4. 파일롯트 플랜트의 제원

구       분

응집침전법

가압부상법

처리유량(m3/D)

7

140

혼화지체류시간(min)

3

5

플럭형성지체류시간(min)

20

20

침전지(부상조) 체류시간(hr)

4

0.5

침전지(부상조)의 형상

장방형

원형

표 5. 파일롯트 플랜트의 순환수처리 운전결과

항목

일시

SS(mg/L)

T-P(mg/L)

PO4-P(mg/L)

chl-a(㎍/L)

N-Hexane

(㎎/L)

원수

DAF

CGS

원수

DAF

CGS

원수

DAF

CGS

원수

DAF

CGS

원수

DAF

CGS

5/2

7.5

1.0

0.8

0.041

0.006

0.013

0.024

0.004

0.008

20.3

0.7

1.0

0.6

0.00

0.10

5/9

8.0

0.9

1.0

0.049

0.006

0.013

0.029

0.004

0.009

21.6

0.8

1.2

0.6

0.00

0.10

5/16

7.8

0.9

1.2

0.046

0.007

0.014

0.027

0.003

0.009

21.9

0.7

1.3

0.4

0.00

0.05

5/23

8.3

1.0

0.9

0.048

0.007

0.013

0.029

0.004

0.009

21.0

0.5

1.2

0.5

0.00

0.10

5/30

7.5

0.9

1.1

0.048

0.006

0.014

0.030

0.003

0.009

20.8

0.6

1.5

0.6

0.00

0.10

6/7

8.5

0.8

1.3

0.045

0.006

0.012

0.026

0.003

0.008

24.1

0.7

1.1

0.5

0.00

0.10

6/13

7.7

1.0

1.3

0.049

0.006

0.012

0.026

0.004

0.009

22.5

0.4

1.0

0.5

0.00

0.10

6/20

6.9

0.8

1.2

0.047

0.005

0.011

0.028

0.003

0.007

21.7

0.2

1.4

0.5

0.00

0.10

6/27

6.9

0.8

0.9

0.048

0.005

0.014

0.025

0.003

0.008

22.4

0.1

1.0

0.5

0.00

0.05

7/4

8.8

1.2

1.1

0.061

0.004

0.011

0.039

0.002

0.008

26.3

0.1

1.0

0.4

0.00

0.05

7/11

7.8

1.1

1.0

0.085

0.006

0.011

0.046

0.004

0.009

31.6

0.1

0.9

0.5

0.00

0.10

7/18

6.3

0.9

0.8

0.058

0.005

0.008

0.035

0.003

0.005

20.7

0.2

0.8

0.5

0.00

0.05

7/25

7.1

0.8

1.1

0.077

0.004

0.012

0.048

0.002

0.007

25.7

0.2

1.0

0.4

0.00

0.05

8/1

8.6

1.2

1.2

0.076

0.007

0.011

0.044

0.004

0.006

25.4

0.5

1.2

0.5

0.00

0.10

8/8

8.7

1.0

1.2

0.087

0.006

0.013

0.042

0.003

0.007

28.9

0.3

1.1

0.4

0.00

0.05

8/16

10.5

1.2

1.1

0.088

0.005

0.013

0.051

0.003

0.008

28.7

0.2

1.0

0.5

0.00

0.10

8/22

11.6

1.4

1.2

0.091

0.005

0.013

0.053

0.003

0.007

29.6

0.3

1.2

0.5

0.00

0.10

8/29

9.1

1.1

1.3

0.089

0.008

0.014

0.055

0.005

0.009

30.2

0.2

1.3

0.5

0.00

0.05

9/5

10.0

1.2

1.2

0.092

0.008

0.012

0.054

0.004

0.007

28.7

0.3

1.0

0.5

0.00

0.05

9/12

8.7

0.8

1.0

0.076

0.006

0.014

0.049

0.004

0.008

27.6

0.1

1.1

0.5

0.00

0.05

9/19

8.2

1.0

1.0

0.077

0.006

0.014

0.047

0.004

0.008

26.8

0.2

1.0

0.5

0.00

0.10

9/26

8.1

0.9

0.9

0.072

0.005

0.011

0.043

0.003

0.007

26.6

0.2

0.8

0.4

0.00

0.05

평균

8.3

1.0

1.1

0.066

0.006

0.012

0.039

0.003

0.008

25.1

0.3

1.1

0.5

0.00

0.08

최소

6.3

0.8

0.8

0.041

0.004

0.008

0.024

0.002

0.005

20.3

0.1

0.8

0.4

0.00

0.05

최대

11.6

1.4

1.3

0.092

0.008

0.014

0.055

0.005

0.009

31.6

0.8

1.5

0.6

0.00

0.10

 

5. 결론

   도심내의 인공호수를 대상으로 수질현황조사와 수질관리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청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공호수의 수질관리를 위한 방안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호수의 투명성확보와 부영양화가 발생하지 않는 청정호수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호수의 목표수질을 수질환경기준의 III급수 이상의 수질로 하여야 하며, 연최대 T-P 농도를 0.03mg/L이하로 관리하여야 한다.

 2) 수질관리시설이 없는 인공호수에서는 모두 부영양상태의 수질을 보이며, 수심이 깊은 호수일수록 부영양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공호수의 주요 오염유입원은 미처리에 의한 용수의 유입과 대기중의 분진 및 호수저면의 퇴적물에서의 용출이 주요 오염원이며, 인공호수를 청정호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입 용수에 대한 처리와 호수수의 순환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4) 인공호수의 합리적인 처리시설은 응집제를 이용한 가압부상법이 적합하며, 또한 호수로의 미소플럭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참고문헌

1) 고양시공원관리사업소(2001), 호수공원 인공호수 수질관리 연구 보고

2)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 서울시 도시공원내 연못 수질관리 방안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7), 일산호의 최적 수질관리 연구, 고양시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1), 조정경기장의 수질개선 및 관리방안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운영본부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2), 부천상동지구 택지개발사업 조경실시설계 호수 수질수질 관리연구, 한국토지공사

6) Forsberg, C. and S. O. Ryding(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iving lakes, Arch. fur Hydrobiol, No. 89, pp. 189~207

7) Vollenweider, R. A., and J., kerekes(1980), OECD cooperative programme on moniting of inland water, Synthesi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