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낙동강 녹조, 정부 진화에도 논란 여전

지오마린 GeoMarine 2013. 8. 5. 10:51

낙동강 녹조, 정부 진화에도 논란 여전

2013-08-02 오후 1:26:03 게재
환경부 "먹는 물 문제없다" … 환경단체 "4대강사업 영향, 보 철거해야"

낙동강 중상류까지 번진 녹조로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됨에 따라, 정부가 진화에 나섰다. 남조류 세포수가 증가했지만 전년 대비 낮은 수준이며, 먹는 물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수질관리가 단순히 먹는 물 관리에만 국한되는 일"이냐며 반발,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 등 대구·경북지역의 물 관리를 담당하는 4개 기관은 2일 대구광역시 문산정수장에서 합동 기자설명회를 개최, 녹조 발생상황과 안전한 식수원 확보 대책 등을 설명했다. 최흥진 대구지방환경청장은 "7월 폭염일수가 2010~2012년에는 10~13일인 반면 올해는 약 2배인 24일에 달할 정도로 연일 폭염이 지속되고, 마른 장마도 이어져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남조류 세포수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7월 30일 낙동강 창녕함안보 구간 등에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낙동강 창녕함안보의 남조류 세포수는 1주만에 약 13배 증가했다. 7월 셋째주 ㎖당 400개에서 넷째주에는 5016개로 늘어났다. 7월 셋째주 구미보의 남조류 세포수는 ㎖당 7362개였다.

하지만 최 청장은 "남조류 세포수 증가는 전년 대비 낮은 수준이며, 증가 시기는 전년과 유사하다"며 "관계기관별로 충분한 대응조치를 강구하고 있는 만큼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는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배기철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장도 "강정고령보에 있는 매곡과 문산 취·정수장의 경우 심층수를 취수하고 있고,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다"며 "최근 수질 분석 결과 원수와 정수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은 낙동강 녹조 발생을 먹는 물 관리 차원에 국한하면 안 된다고 반발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은 "수질 관리는 먹는 물 관리는 물론 수생태계 관리도 포함된다"며 "이번 녹조는 4대강사업의 영향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정 국장은 "4대강사업 이후 녹조 현상 심화 등으로 수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다"며 "보를 철거하는 등 당장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청장은 "녹조는 느린 유속, 강수량, 일조량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생긴다"며 "단순히 4대강사업의 영향만으로 이번 낙동강 녹조현상이 발생했다고 잘라 말하기는 힘들다"고 설명했다. 최 청장은 또 "현재 녹조상태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라며 "녹조가 앞으로 더 악화되면 수질개선대책이나 상류댐 물 방류 등을 통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지난달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언론사 간담회에서 "4대강 사업은 운하라고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윤 장관은 "4대강 사업은 운하가 아니라고 하지만, 차후에 여건이 되면 갑문을 만들면 바로 운하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라며 "증거는 없지만 심증적으로 4대강 사업이 운하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