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정비사업후 건설기술자의 단상 4대강 정비사업후의 건설기술자의 단상 • 보의 위치 선정과 보의 설계 보의 설치위치는 협곡, 강폭이 가장 좁은 곳을 선정하여 설치하는것이 건설기술자로서는 상식에 속한다. 4대강 정비사업은 이와는 기술적 상식을 벗어나 있었다. 강폭이 넓은 곳을 선정하여 위치선정을 하다 보니.. 나의 삶/나의 생각 2018.01.20
꼬불꼬불 물길 살리는 세계, '거꾸로 가는' 4대강[세계의 '강 살리기'①] 댐·제방 허무는 미국의 '생태적 하천 복원' 꼬불꼬불 물길 살리는 세계, '거꾸로 가는' 4대강 [세계의 '강 살리기'①] 댐·제방 허무는 미국의 '생태적 하천 복원' 정부의 이른바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연일 화두다. 생태적인 위험성과 경제적 효과 등, 숱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 사업에 대한 변함없는 강행 의지를 내비쳤.. 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2010.07.05
물 부족 대한민국, 연 1276억t 강수량 30%도 못 쓴다 물 부족 대한민국, 연 1276억t 강수량 30%도 못 쓴다 '빗물 그릇’을 늘려라 최준호<joonho@joongang.co.kr> | 제106호 | 20090322 입력 봄 가뭄 속에 세계 물의 날(3월 22일)을 맞았습니다. 봄비는 내리고 있지만 태백 등 강원 남부 지역과 경남·전남 도서 지역에서는 여전히 마실 물이 부족할 정도로 물 기근을 ..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09.03.23
“집집마다 빗물탱크 만드는 게 큰 댐보다 낫다” “집집마다 빗물탱크 만드는 게 큰 댐보다 낫다” ‘빗물 박사’ 한무영 서울대 교수고성표<muzes@joongang.co.kr> | 제106호 | 20090322 빗물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서울대 한무영(53사진) 교수는 “빗물은 하늘이 공짜로 내려준 돈 줄기”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는 현재 서울대 빗물연구센터 소장과 국제..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09.03.23
큰댐, 미니댐, 마인드 댐 큰 댐, 미니 댐, 마인드 댐 반복되는 물문제, 해결책은 역시 댐뿐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한 무영 교수 우리나라처럼 비가 여름에 집중되고 산이 많은 나라에서는 빗물을 모아서 쓰는 방법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오늘의 경제성장은 그동안 부지런히 댐을 만들어 빗물을 모은 덕분이라고도 할 수 있..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0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