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로코의 경제
북아프리카의 경제 대국 모로코의 국내 총생산량 국민소득(GDP)와 1인당 GDP는 IMF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모로코의 GDP은 약1,570억 9천 달러이고 2023년 GDP는 약 1,439억 6,000만$였다.
모로코는 유럽과 아프리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잠재력을 가진 나라다. 아프리카 대륙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지브롤터 해협을 사이에 두고 스페인과 인접해 있는데, 이 해협의 최단 폭은 불과 14km 정도밖에 되지 않아, 모로코의 해안에서 스페인 땅이 육안으로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가깝다.
모로코의 1인당 GDP는 2024년 약 3,890달러이고 수년간 꾸준히 개선되어 왔습니다. 북아프리카 위치한 튀니지의 1인당 GDP와 비슷한 수준이다.
2024년 모로코의 GDP는 212 국가 중에서 60위를 차지했고, 아프리카 대륙의 54개 국가 중에서는 전체 GDP의 5.4%를 차지하며 6위에 올랐다. IMF는 2025년 GDP는 모로코가 세계 59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GDP : 1439억 6000만$ (‘23, IMF)
◦ 1인당GDP : 3890$ (‘23, IMF)
2. 주요산업
모로코 경제의 주요 분야는 농업, 인산염, 직물, 관광업이고 최근 모로코 정부는 산업을 다각화하고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와 인프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52%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태양광 & 풍력 발전을 확대할 계획이다.
여전히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 격차가 크고 상류층과 서민층 간의 빈부 격차 역시 뚜렷하지만, 유럽, 아프리카 및 중동 시장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아프리카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3. 모로코의 개황
지중해와 대서양을 접하고 있으며 북쪽의 스페인과는 지브롤터 해협을 사이에 두고 매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음.
◦면적 : 대한민국의 약 7배 정도(서사하라 지역 포함)
◦인구 : 약 3,800만 명
◦정치 : 입헌군주제(왕권)
◦언어 : 공용어[아랍어 + 베르베르어] / 상용어[불어]
◦종교 : 이슬람교(99%)
◦인종 : 아랍인(67%), 베르베르인(31%)
◦기후 : 북부지역 → 지중해성 기후(건기:5∼10월, 우기 11월∼4월)
중부지역 → 대륙성 기후
남부지역 → 사막기후
◦수도 : 라바트(Rabat : 아프리카 북서쪽에 위치)
◦최대도시 : 카사블랑카(Casablanca)
◦화폐 : 디르함(MAD:2025.1.8 기준, 1달러는 약 10.04디르함)
4. 정치체제
모로코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왕국 중의 하나로 788년에 최초의 통일 왕조가 수립된 후, 수차례 왕조가 바뀌면서 왕국 체제를 유지해 오고 있다.
북아프리카 유일의 입헌군주제로서 국왕이 삼권을 초월하여 행정, 입법, 사법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가고 있다. 입헌 군주제와 의회 시스템을 결합한 독특한 정치 체제임.
◦국왕이 국가 원수이자 최고 종교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헌법 제19조)
◦국왕은 국가통일의 상징 및 국가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이슬람 수호자임.(헌법 제19조)
◦국왕은 총리 임명권과 총리의 제청에 의한 각료 임명권을 행사함.(헌법 제24조)
◦국왕은 의회를 해산하거나 장관을 임명하고 정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가짐. (헌법 제25, 26, 27조)
5. 주요 수출품
모로코는 북아프리카의 주요 수출국으로,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부품 포함), 광물(인광석 등), 가죽 및 의류, 농산물(과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염 및 관련 제품:세계 최대 인산염 수출국 중 하나로, 이는 비료의 핵심 성분임.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은 주요 수출품으로 모로코 수출의 1~2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분야임.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르노, 시트로엥 같은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유럽과의 무관세 협정 덕분에 연간 약 60만 대의 차량을 수출하고 있음
◦ 농산물은 지중해성 기후 덕분에 감귤류, 올리브, 채소 등의 농산물이 생산됨.
◦섬유는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섬유는 유럽 시장에서 특히 인기가 많음
◦재생 에너지 부품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에 집중하면서 관련 기술과 부품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경제성장률 : 3% (‘23, IMF)
◦화폐단위 : Morocco Dirham(MAD)/ 1US≒10.14 MAD(‘23, EIU)
◦교역 : 996억불 (‘23, EIU)
- 수출액 : 372억$
- 수입액 : 624억$
◦수출품목 : 의류, 전자부품, 농수산품, 인광석 등
◦수입품목 : 원유, 통신장비, 곡물, 가스, 전기 등
◦물가상승률 : 6.1% (‘23, IMF)
◦주요자원 : 인광석(세계3위 생산국), 철, 망간, 구리
모로코는 풍부한 문화유산, 지리적 다양성, 그리고 경제적 잠재력을 가진 나라로 국제 사화에서 주목받고 있다. 아프리카와 유럽을 잇는 전략적 위치와, 산업 수출에 기반한 경제는 모로코를 북아프리카의 핵심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6. 한국과의 외교관계
◦수교일자1962.07.06.
◦공관현황 :
- 우리측 : 1962.09. 개설 / 2024.03. 윤연진 대사 부임
- 모로코 : 1988.12. 개설 / 2016.11. Chafik RACHADI 대사 부임
◦투자현황 : - 對모로코 투자액 : 1.8억불(80-23년 누계)
◦교역 : 5.7억불(‘23, 관세청)
- 수출액 : 3억 9,000만$
- 수입액 : 1억 8,000만$
◦수출품목 : 차량, 직물, 합성수지 등
◦수입품목 : 의류, 기타광물, 어육 등
◦진출업체 : 삼성/LG전자, 핸즈/유라코퍼레이션, 포스코인터 등
◦교민현황 : 362명 ('23)
◦주요협정 체결현황
- 1976.05. 무역협정
- 1976.05. 경제기술협정
- 1979.07. 문화과학협정
- 1990.05. 체육협력의정서
- 1993.09. 사증면제협정
- 2000.06. 이중과세방지협정
- 2001.05. 투자보장협정
- 2001.11. 해외봉사단 교환각서
- 2003.04. 항공협정
- 2006.06. 관광협력협정
- 2016.08. 문화교류시행계획서
◦정부간 협의체 :
- 공동위 : 제7차 한-모로코 공동위 개최(2018.10., 서울)
- 문화공동위 : 제6차 한-모로코 문화공동위 개최(2016.08., 라바트)
- 정책협의회 : 제5차 한-모로코 정책협의회(2022.12., 서울)
'나의 삶 > 여행·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19-필리핀 마닐라 (1) | 2025.03.21 |
---|---|
20241224-캄보디아(2) (9) | 2024.12.30 |
20241222-캄보디아(1) (7) | 2024.12.27 |
제주의 가을-20241010 (17) | 2024.10.14 |
20240429-베트남 하이풍 (0) | 202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