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빗물 오염도 실험

지오마린 GeoMarine 2012. 6. 18. 10:39

[재미있는 환경 실험실] 빗물 오염도 실험

쓰레기·기름 등이 빗물과 흘러 들어가 강·바다 오염
2015년엔 수질 오염 중 70% 차지 예상

 

△물의 순환과 빗물 오염의 관계는?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지구의 물은 바다가 약 97%, 빙하와 얼음이 2%,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지하수나 강물이 1%를 차지하고 있어요. 지구상의 물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에 의해 증발된 다음 공기 중에서 한데 엉키는 응결 과정을 거쳐 구름이 돼요. 구름은 비나 눈의 형태로 다시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오게 된답니다. 이것이 물의 순환 과정이에요.

이 과정에서 빗물이 오염돼 하천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면 물고기들이 사는 강물과 바닷물이 오염되는 거지요.

△빗물은 어떻게 오염될까요?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땅 위에 있는 쓰레기나 자동차 기름 등이 빗물과 함께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빗물 오염이라고 하지요. 빗물오염을 전문적인 용어로는 비점오염이라고 해요.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과 함께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에서 나오는 오염 물질이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를 이르지요.

10여 년 전만 해도 빗물 오염이 수질오염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이 약 40~60%였어요. 하지만 2015년에는 7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요.

△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실험으로 알아봐요.

1. 준비물

비커 2개, 바닥이 둥근 플라스크, 얼음, 따듯한 물

2. 실험 방법

① 따듯한 물을 비커에 넣어요.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② 플라스크에 얼음과 물을 담고 따뜻한 물을 채워 넣은 비커 위에 올려놓아요.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3. 실험 결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비커 안은 뿌옇게 흐려지고 플라스크 밑바닥에는 작은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해요. 비커가 흐려지는 것은 구름이 만들어지는 걸 보여 준답니다. 플라스크 아랫면에 맺힌 물방울은 비라고 볼 수 있어요. 비커 안에 따뜻한 물이 증발하다 플라스크 바닥에 모여 물방울으로 떨어지게 되는 거지요. 바로 비가 만들어지는 원리랍니다.

△빗물 오염은 어떻게 막을 수 있나요?

빗물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 길거리의 쓰레기가 비와 함께 강으로 쓸려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해요. 쓰레기를 아무 곳에나 함부로 버리지 말아야겠어요. 다음으로는 애완 동물을 데리고 산책할 때는 배설물을 담는 비닐 봉지를 반드시 준비하세요.

마지막은 어린이들이 직접 할 수 있진 않지만 가정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이랍니다. 바로 아빠가 세차를 하실 때지요. 차를 닦으며 나오는 비눗물과 차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빗물에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정해진 곳에서만 세차를 하라고 꼭 말씀 드리세요.

/자료 제공: 꿈나무푸른교실(www.e-gen.co.kr, 삼성엔지니어링의 사이버 어린이 환경 교육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