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목마른 한반도, 빗물이 대안이다 [기고]목마른 한반도, 빗물이 대안이다 박수현 (사)자연보호충남협의회 사무처장 2009년 03월 19일 (목) 지면보기 | 20면 충청투데이 cctoday@cctoday.co.kr 올 겨울 가뭄은 다른 어느 때보다 극심했고 해마다 그 정도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가뭄으로 거북등처럼 쩍쩍 갈라진 논바닥을 보면서도 우리는 별로..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10.11.24
빗물 관리를 통한 도시 물 관리의 토털메커니즘 수립 빗물 관리를 통한 도시 물 관리의 토털메커니즘 수립 대세는 '잡놈'. 지오마린의 김정한 대표 2010년 11월 12일 (금) 최태용 기자 1981rooster@gmail.com http://www.ilyo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94 물 관리 기술은 대한민국이 최고 온고지신을 기본 철학으로 삼는 엔지니어 물 관리도 풀뿌리 민주주의 우리나..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10.11.12
그림같은 녹색 절경, 알고보면 '죽음의 호수' 그림같은 녹색 절경, 알고보면 '죽음의 호수' [해외리포트] 중 뎬츠 호수의 비극... 손발 담그면 피부병 10.07.17 23:01 ㅣ최종 업데이트 10.07.17 23:01 ▲ 심각한 부영양화로 녹조의 바다가 되어버린 호수 뎬츠. "이제 이 호수는 회생할 가능성이 없어요. 호숫물에 손발을 담그면 피부병이 옮을 정도로 썩어버.. 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2010.10.27
호주의 워터 디바이드 워터그리드 구축… ‘물 스트레스 나라’서 물 선진국으로 물격차 해소 견인차 ‘하수재처리장’ 호주 퀸즐랜드 분담바 하수재처리장 전경. 이곳은 하수를 재처리해 공급하는 물 재활용 공장이다. 댐 등 다른 수자원과 워터 그리드로 연결돼 지역 물 격차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2010.10.26
“물관리 매니지먼트가 돼야” “물관리 매니지먼트가 돼야” 김정한 (주)지오마린 대표 “하늘위의 물 땅 속, 땅 위의 물, 좋은 물 나쁜 물 어느 물이든 하나로 보고 전체적인 매니지먼트가 필요한 것이 바로 물이다.” 김정한 지오마린 대표는 빗물의 대표적인 전문가이다. 모든 물을 한나라고 보고 그 물을 관리할 수 있어야 진정..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10.09.13
빗물 활용해 수도요금 아낀 곳 빗물 활용해 수도요금 아낀 곳 [인천] “경기장 안에 있는 피트니스 센터에 운동하러 왔다가 경기장의 조경과 꽃 향기 때문에 벤치에 앉아 있어요” 이곳은 인천 문학동에 있는 문학경기장. 조영희씨(50·여)는 여유롭게 웃으며 경기장 안을 가리켰다. 그곳에선 소나무, 스트로브 잣나무, 명자나무 등 ..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10.08.29
땅 속에 스며든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야 생태하천 말라가는 도시의 하천 도심의 하천에 물이 흐르지 않고 말라가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서울의 대부분의 땅이 콘크리트와 시멘트로 되어있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아 지하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도시화로 인한 빗물 투수율의 변화 하천에서 흘러야할 물들이 하수관거를 통해서 하수종말.. 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2010.07.23
꼬불꼬불 물길 살리는 세계, '거꾸로 가는' 4대강[세계의 '강 살리기'①] 댐·제방 허무는 미국의 '생태적 하천 복원' 꼬불꼬불 물길 살리는 세계, '거꾸로 가는' 4대강 [세계의 '강 살리기'①] 댐·제방 허무는 미국의 '생태적 하천 복원' 정부의 이른바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연일 화두다. 생태적인 위험성과 경제적 효과 등, 숱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 사업에 대한 변함없는 강행 의지를 내비쳤.. 아름다운 지구만들기/Lake Restoration 2010.07.05
시각을 알려 주는 물시계 우리는 현재 시각을 알고 싶거나 얼마나 시간을 흘렀는지 알고 싶을 때 시계를 봅니다. 우리나라에 처음 시계가 들어온 것은 1631년이었어요. 그럼 그 전에는 어떻게 시간을 알 수 있었을까요? 조선 시대 왕의 중요한 임무 가운데 하나는 백성들에게 일할 시각과 쉴 시각을 알려 주어 사회의 질서를 유..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10.06.21
빗물의 양을 측정하는 측우기 물을 과학적으로 이용한 예는 또 입습니다. 세종대왕 이전에는 빗물을 측정할 때 땅을 파보고 빗물의 양을 측정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오늘밤 비가 내려 땅 속에 스며들기를 1촌(3.0303cm) 가략이었다.'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흙이 마르고 젖은 정도가 모두 다르고, 흙의 .. 아름다운 지구만들기/Rainwater 2010.06.21